top of page
sub_top_bg.jpg

뉴스룸

News

BD

2014년 8월 3일

사물인터넷 기술로 '스마트 장어 양식장' 만든다

㈜비디가 SK텔레콤 T오픈랩에서 주최한 사업 공모전 아이디어에서 1위로 선정돼 공동사업 추진

장어는 연어와 반대로 바다에서 태어나 민물에서 자란다. 신기한 일은 민물장어는 모두 숫놈이고 바다에서 잡힌 민물장어는 하나같이 암놈이다. 부화 2년 반 뒤 치어 상태로 민물로 올라와 수년을 살다가 바다로 돌아가서는 암놈으로 변해 알을 낳고 일생을 마친다.


번식을 자기 한 몸으로 해결(자웅동체)하는 장어는 일반 어류에 비해 환경에 민감하고 폐사율도 높다. 그래서 양식을 할 때도 수온이나 수질, 산소량 등에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한다.


통상 양식장마다 직경 6m의 수조를 약 20~60개 정도 관리하는데, 하나의 수조 당 치어는 5만 마리, 성어는 1만 마리 정도가 산다. 제한된 공간에 많은 장어가 살기 때문에 먹이 찌꺼기와 배설물 등의 처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같은 분비물들이 산화하면서 산소부족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산화 과정에서 수조 물이 산성화 될 수 있기 때문에 적정 수소이온농도 지수(PH)를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와 함께 빠른 발육을 위해 적정 온도를 유지하는 것도 필요하다. 장어는 보통 10~31℃에서 생존하지만 25~31℃ 정도가 양식 환경에 최적이다.


따라서 양식장들은 상시 인원을 배치하고 수조별로 수온과 용존산소량, 수소이온농도 지수 등을 수작업으로 점검하고 있다. 치어는 약 2시간마다, 성어는 약 6시간 마다 상태를 확인한다. SK텔레콤(017670)과 국내 중소기업인 비디는 이같은 장어 양식장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적용한 ‘양식장 관리 시스템’을 개발했다.

서울시 구로구 디지털로 26길 43,  대륭포스트타워8차 R동 3층 Tel 02-2025-4999 Fax 02-2025-0409


Copyright@2024 by BD Convergence.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